대한민국 철도청(비교)
r19 vs r20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25 | 25 | |
26 | 26 | 기관차의 경우에는 새마을호와 도색을 공유한 하얀색+파란색, 검은색에 주황색 줄무늬를 넣은 일명 호랑이 도색이 있다. |
27 | 27 | |
28 | 1996년 신 CI의 등장과 함께 도색이 노랑+초록색[* 나뭇잎의 초록색 까지는 아니고 약간 청록색, 정확하게는 그 중에서도 Teal Green 정도에 가까운 색이다. ]으로 변경되었다.[* 흔히 구도색으로 불리며, 90년대 철도를 장식한 도색이기도 하다.] 현재 이 도색은 계승되어 [[남서울철도]]의 [[경인선]] 구간을 누비는 [[철도청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|신저항]]에게서 볼 수 있다. |
|
28 | 1996년 신 CI의 등장과 함께 도색이 노랑+초록색[* 나뭇잎의 초록색 까지는 아니고 약간 청록색, 정확하게는 그 중에서도 Teal Green 정도에 가까운 색이다. ]으로 변경되었다.[* 흔히 구도색으로 불리며, 90년대 철도를 장식한 도색이기도 하다.] 현재 이 도색은 계승되어 [[남서울철도]]의 [[경인선]] 구간을 누비는 [[철도청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|신저항]]과 [[세이부 6000계 전동차]]에게서 볼 수 있다. |
|
29 | 29 | |
30 | 30 | 새마을호와 통일호는 노란색과 초록색[* 통일호는 처음엔 노란색+남색이었으나 1997년에 각역정차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초록색으로 변경되었다.], 무궁화호는 노란색과 주황색[* 빨간색에 가까운 진한 주황.], 2000년에 사라진 비둘기호는 노란색과 연두색으로 변경되었다. |
31 | 31 | |
... | ... |